Skip to main content
Advanced Search
Search Terms
Content Type

Exact Matches
Tag Searches
Date Options
Updated after
Updated before
Created after
Created before

Search Results

111 total results found

로이즈(Lloyd's)의 역사

Lloyd's 포켓 가이드

로이드 시장은 보험 산업의 최전선에서 보험 산업의 최전선에서 3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주요 역사적 사건, 큰 비극, 그리고 기술 혁신까지, 이 타임라인을 통해 로이드와 세상을 로이드와 세상을 변화시킨 순간들을 추적합니다. "어떤 위도에서도 산들바람은 불 수 없습니다, 폭풍이 몰아치거나 안개가 피어오르거나 세계 어느 곳에서든, 그 역사를 기록하지 않고는 여기에 그 역사를 기록하지 않고는.-기자가 설명하는 1859년 로이드의 언더라이팅 룸 1652년 커피...

13. Vanguard ETFs

Financial III. 기타 정보

뱅가드 ETF는 1등급에서 5등급로 나뉘고, 1등급은 가장 안전한 상품이고 5등급은 가장 위험한 상품이다.  "위험하다"는 의미는 돈 싸그리 다 날린다는 뜻. 하지만 빚을 지지는 않는다.  IG 등급은 채권시장에서 "투자적격등급"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채무변재에 문제가 없는 채권을 말한다. 성장주 :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앞으로 뜰 것 같은 주식을 말함 가치주 : 회사의 가치에 비해 시장에서 저평가 되어있는 주식을 말함 펀...

금융공부

01. 예금이란

Financial I. 투자지식 기초

예금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은행에 돈을 맡기고 약간의 이자를 받는 형태"입니다. 이것은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돈을 받는 곳(예: 은행)이 돈을 달라고 하지도 않았는데 사람들이 알아서 돈을 가지고 오는 것이기 때문에 금리가 매우 짭니다. 그 중에서 "자유저축예금"은 훨씬 짭니다. 그런 이유는, 은행이 자유저축에 들어있는 돈을 가지고 돈놀이(이자놀이)를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언제 고객이 돈을 꺼내갈지 모르니까요. 결국 우리도 마찬가지지만 ...

02. 적금이란

Financial I. 투자지식 기초

적금은 예금의 또 다른 형태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돌아가는 방식은 예금과 동일합니다.  적금이라는 것은 우리가 금융기간에 "~만큼의 기간동안 매달, 매주 이만큼의 돈을 넣을테니 약속한 이자를 주시오"라고 계약하는 형태입니다.  정기예금(기한이 정해진 예금)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적금은 초기에 약속한 돈을 통째로 넣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기간에 약속한 돈을 지속적으로 입금하는 것입니다. 그것만 다른 점입니다.  적금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 ...

03. 복리는 뭐고 단리는 뭐야?

Financial I. 투자지식 기초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어느쪽이든 일정기간 이상 내 돈을 예금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 크게 두가지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리 : 단리는 원금(내가 맡긴 돈)을 정해진 기간동안 넣었을 때, 거치한 기간만큼 계산해 이자를 주는 단순한 방식입니다. 예를들어 1,000,000원을 3년간 연이율 3%로 빌려준다면, 매년 30,000원씩 이자를 계산해 3년후 이자 90,000원을 받는 것이지요.  복리 : 복리는 원금 뿐...

05. 주식과 증권투자

Financial I. 투자지식 기초

이제 제일 민감하고 엉망진창인 도박장에 들어오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우선 투자와 대부(돈 빌림)의 차이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두 가지는 확실하게 다릅니다. 투자는 내 돈을 기업에 넣어서 앞으로 기업이 얻게 될 이익을 나눠 먹으려는 의도나, 아니면 내 돈이 기업에서 가지는 비중을 따져서 내가 주인행세를 하기 위해 넣는 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금은 빌려준 돈이 아니라 심하게 말해 기업에 준 돈입니다. 하지만 대부는 돈을 빌려준 것이죠. 빌려준 것이기 때문에...

04. 채권과 그 친구들

Financial I. 투자지식 기초

오늘은 채권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채권은 "돈 빌려줬다는 증서"를 어렵게 말한 것입니다. 흔히 회사들이 발행하는 어음이나 일반인들이 돈을 빌리고 주는 차용증서랑 같은 것입니다. 채권이라는 돈 빌림증에는 여러가지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액면가 : 증서 한장에 얼마인지 빌린 돈의 액수가 적혀 있습니다. 보통 10,000원입니다. 만기일 : 돈을 언제까지 빌린다는 날짜가 적혀 있습니다.  표면금리(쿠폰) : 연 금리로 몇 %인지가 적혀 있습니다.  이...

06. 선물이란

Financial II. 파생상품

이것도 공부니까 알고는 계시고, 절대 쳐다보지 마세요. 이거 하시면 망합니다. 100% 망합니다. "나는 할 수 있다" 이런 생각도 하지 마세요. 무조건 망합니다. 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

07. 옵션이란

Financial II. 파생상품

이것도 공부니까 알고는 계시고, 절대 쳐다보지 마세요. 이거 하시면 망합니다. 100% 망합니다. "나는 할 수 있다" 이런 생각도 하지 마세요. 무조건 망합니다. 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

08. 스왑이란

Financial II. 파생상품

스왑(Swap)이란  말 그대로 맞교환을 하는 것입니다. 두 거래 당사자가 금리라든가 돈이라든가 사람이라든가(!?), 아무튼 무엇을 동등한 이득을 위해 맞교환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맞교환의 종류에 따라 이자율이면 IRS, 신용이면 CDS, 통화(돈)이면 CRS이라고 하며, 주식을 교환하는 것이면 Equity Swap이라고 합니다. 보통 이러한 스왑은 우리같은 일반인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나 투자사들, 또는 국가단위로 일어나는 것이라 앞에 경고문구를 넣지...

09. FX (Foreign eXchange, 환거래) 란

Financial II. 파생상품

이것도 공부니까 알고는 계시고, 절대 쳐다보지 마세요. 이거 하시면 망합니다. 100% 망합니다. "나는 할 수 있다" 이런 생각도 하지 마세요. 무조건 망합니다. 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

10. 파생상품이란

Financial II. 파생상품

파생상품(Derivatives)이란  파생상품이라는 것은 쉽게 생각해 어떤 것에서 파생되어(새끼쳐서 나온) 상품이라는 말이죠. 정확히는 '특정 자산이나 특정 사건의 일어날 가능성을 거래하는 행위 그 자체를 상품화한 것'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거래하는 상품"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파상상품의 대상이 되는 것은 주식, 채권, 농산물, 원자재, 석유, 금 같은 실제 눈에 보이는 자산 뿐만 아니라 주가지수, 회사의 신용...

12. 적절한 투자방법이란

Financial III. 기타 정보

저도 그렇고 모든 사람들은 일은 최소한으로 하고 돈은 최대한으로 벌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방법은 없습니다. 그런 방법이 있다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 방법을 이용하고 있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쉬운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나마 있는 유일한 방법은 원금손실을 무릅쓰고 투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계속 나오는 말,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입니다. 그것 말고는 없습니다. 하지만 원금 손실은 무섭습니다. 아끼고 아껴서 번 돈을 날릴 수 있다는데 아무렇지 않은 사람이...

11. 귀금속 투자(현물투자)

Financial III. 기타 정보

귀금속과 희소금속은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가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은 크게 금과 은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실제 편하게 투자가 가능한 상품은 금이 있습니다.  금의 특징과 금 투자의 장점 금은 금광에서 땅을 파서 구하는 물질입니다. 그리고 지구상에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금이라는 원소는 오직 초신성이라는 별이 거대한 폭발을 일으킬 때만 만들어집니다. 이때 필요한 조건은 ...

2024년 02월 경제전망 보고서 요약

Financial IV. 참고자료

간략요약 내수경기의 부진, 수출경기의 호전으로 경제성장률은 2.1% 정도로 봄  물가상승률은 2.2% ~ 2.6% 예상, 실업률은 최대 3%로 보고 있음 유류공급의 문제와 중국 부동산 침체가 한국경기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국내 내수부진은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의 재임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리인하는 올해 6월을 기점으로 한국, 미국 순서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설명 전반적으로 2023년도와 비슷한 상...

14. 장외채권

Financial III. 기타 정보

장외채권이란 채권거래소에서 채권을 사고 파는 것이 아니라 금융투자회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장외시장에서 비상장주식을 매매하는 것과 다르게 이 채권들은 모두 정식 등록이 되어 있는 채권이며 공시가 되어 있습니다.  투자회사들은 장외채권을 추가적인 수수료 없이 판매를 하고 있는데요, 실상은 약간의 할인에 대한 커미션을 챙기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큰 금액이 움직이는 장내채권 시장에서 대량으로 채권을 구매하기 어려운 우리같은 일반인...

15. 회사의 신용평가 유효기간

Financial III. 기타 정보

채권을 구매하려고 보면 회사와 채권의 신용등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채권을 발행한 기관 또는 회사가 그 채무를 상환할 능력을 가늠하는 지표이면서, 가산금리가 얼마로 책정되는지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문제는 경제상황은 끝임없이 변하는데 이 신용등급이 영원히 유효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 실제로 이 등급이 언제까지 유지되는지 궁금했습니다. 회사의 신용평가(신용등급) 회사의 신용등급은 최종 재무제표 결산 기준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만약 최종 재무...

16. 채권과 어음 등, 용어의 차이와 의미

Financial III. 기타 정보

금융상품을 보다 보시면 처음보는 용어가 많이 나와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내가 이해를 못해서 실수하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생기니까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음과 채권의 차이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CP)와 사채(기업 채권, Bond), 그리고 단기사채(전자 단기사채, Asset Backed Short-Term Bond)가 있습니다. 어음과 채권(사채)의 가장 큰 차이는 만기시점입니다. ...

17. 공매도와 선물매도의 차이

Financial III. 기타 정보

금융을 공부하다 보면, 공매도과 선물매도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질 때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랬습니다. 둘 다 가격이 떨어졌을때 이득을 보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의 차이가 무엇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작동원리에 따른 차이 공매도(Short selling, Short) 공매도를 하겠다고 한다면, 투자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자산을 빌려서 판 후에, 나중에 진짜 가격이 떨어지면 떨어진...

18. 펀드 (Fund)

Financial III. 기타 정보

펀드의 이해 이야기가 길고 복잡하지만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펀드(Fund, 기금)라는 것은 말 그대로 어떤 투자를 위해 돈을 모아 큰 투자금액을 만드는 것, 또는 그 투자금액으로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뮤추얼 펀드(Mutual Fund)라는 말도 있는데 이것은 주식투자를 위해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투자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선물옵션 등에 투자한 후 이익을 나눠 주는 증권투자회사를 말합니다. 결국, 크게 보았을때는 "뮤추얼 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