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07. 옵션이란

이것도 공부니까 알고는 계시고 절대 쳐다도 보지 마세요. 이거 하시면 망합니다. 100% 망합니다. 
"나는 할 수 있다" 이런 생각도 하지 마세요. 무조건 망합니다.

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망합니다. 망합니다. 망합니다. 망합니다. 망합니다. 망합니다. 망합니다.

 

왜 망한다고 할까요? 

옵션도 앞의 파트에서 설명한 선물과 비슷한 녀석입니다. 이 녀석도 자신이 투자하는 금액 이상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반대급부로 어마어마한 빚을 질 수 있습니다. 그래도 옵션이 선물보다 아주 조금 나은 부분은, 이 녀석은 특정 상황에서 손실이 제한적이라는 정도 입니다. 하지만 그것 뿐입니다. 빚을 질 수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옵션(Option)이란 

옵션이란 현재 얼마의 값어치를 가지는 상품(자산)을 만기시에 행사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계약하는 일"입니다. 무슨 말인지 어렵지요.
그러니까 지금 100만원짜리 상품이 있을때, 만기 시점에 그 상품의 가격이 지금보다 비쌀 것을 예상하면 매수자는 지금 그 상품을 약간의 프리미엄을 주고 "100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계약합니다. 이걸 콜 옵션이라고 부르며 만약 개당 5만원의 프리미엄을 줬는데 100만원짜리 상품이 110만원이 되었다면 남들보다 5만원 싸게 산 것이 되니까 콜 옵션을 구입한 사람은 이득을 보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로는 풋 옵션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현재 100만원짜리 상품이 있을때, 만기 시점에 이 상품의 가격이 지금보다 싸질 것이라고 예상하면 매도자는 약간의 프리미엄을 받고 만기 시점에 매수자가 100만원에 이 제품을 살 권리를 팝니다. 그리고 실제 만기가 되었을때 그 제품의 가격이 90만원이 되었다면 매도자는 매수자에게 90만원짜리 물건을 100만원에 강매할 수 있으므로 10만원의 이익을 보게 됩니다. 

이것이 옵션의 기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언제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을 가진 매수자가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때문에 매수자는 언제든 프리미엄을 주고 산 "권리(옵션)"을 폐기할 권한이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권리의 행사를 포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매도자는 "상대가 행사한 권리에 대해 거부권이 없습니다." 언제나 자본주의는 돈 가진놈이 짱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콜 옵션(물건을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산 투자자가 있습니다. 이 사람은 100만원짜리 물건이 만기시에 110만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5만원의 프리미엄을 주고 샀습니다. 그리고 만기가 되어 실제 이 제품이 110만원이 된다면, 자신은 5만원만 더 주고 산 것이니 남들보다 5만원 싸게 산 것이 되어 이득입니다. 하지만 만약에 100만원짜리 물건이 만기가 되었을 때 95만원이 되었다면? 지금 100만원짜리 물건을 105만원에 살 수 있다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인데, 95만원이 되어버렸다면 이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그냥 사는 것이 이익입니다. 왜냐면 권리를 행사하면 오히려 95만원짜리 물건을 105만원에 사야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10만원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네, 옵션을 산 사람은 권리를 포기할 권한이 있습니다. 그리고 권리를 포기하면 매도자는 그냥 95만원에 파는 것이구요. 

풋 옵션(물건을 특정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을 산 투자자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