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워렌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서한

21435_41724_323.gif

이 책이지요. 지난 주말동안 eBook으로 구입해서 열심히 읽어봤습니다. 내용중에 기억나는 것, 그러니까 알고 계시면 좋은 것을 정리해 봤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투자와 관련된 내용만 정리하겠습니다. 

  • 회사에 투자를 할 때는 그 회사의 CEO에 대해 알아봐라. 그 사람이 성실하고 자신이 몸담고 있는 회사가 CEO의 자산 전부일 때, 더욱 열정적으로 일한다. 
  • 좋은 회사이고 좋은 CEO라고 판단되면, 그 회사의 주가가 쌀 때 매수를 해서 보유해라. 좋은 회사의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 회사의 실적이 좋아짐에 따라 주식의 가치도 상승하여 더 큰 자산을 얻게 된다. 
  • 아무리 좋은 CEO이고 좋은 직원들이 있더라도, 회사가 하고 있는 사업이 이미 시대에 뒤떨어져 쇠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투자가치가 없다. 
  • 계속 대규모 자본이 들어가야 하는 사업은 가능하면 투자하지 마라. 특히 시장 지배적 위치에 있어 다른 회사들간의 명백한 차이(경제적 해자)가 형성되지 않은 사업은 위험하다. 
  • 개인적으로, 자산의 증식(복리의 효과)을 목표로 한다면 주식에 투자하라.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오직 주식만이 복리 수준의 수익률을 낸다. 시세차익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만 있어도 그렇게 된다. 
    • 채권은 고정된 이자만을 주므로 장기간 투자를 이어나간다고 하더라도 복리의 효과를 그다지 볼 수 없다. 
    • 금과 귀금속은 자산을 동일한 가치로 유지시켜줄 수 있지만 복리의 효과를 전혀 볼 수 없다. 
  • 수수료를 최대한 아껴라. 수수료를 많이 낸다고 수익률이 높아진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세상에는 다양한 투자 전문가와 자문가가 있지만 결국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을 이기지 못했다. 
  • 굳이 좋은 주식을 샀는데 가격이 올랐다고 매도하는 일을 하지 마라. 좋은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면 각종 뉴스와 기사를 보며 매매를 하지 않아도 주가는 오르게 되어 있고 평가가치 상승으로 인해 자산이 늘어나게 된다. 시세차익을 위한 매매는 대부분 수수료만 지출하게 될 뿐이며 불필요한 스트레스만 유발한다. 
  • 여러가지 이유로 주가가 하락했다고 해서 불안해 하지 마라. 당신이 좋은 회사에 투자했다면, 주가의 하락은 오히려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온 것 뿐이다. 
  • 레버리지는 하지 마라. 레버리지는 독이다. 
  • BRK-a나 BRK-b에 투자해라. 만약 자산이 충분하지 않다면 VOO(S&P 500 인덱스 ETF)를 매수해라. 
  • 절대로 미국에 반대되는 투자를 하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