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4. 장외채권

장외채권이란 채권거래소에서 채권을 사고 파는 것이 아니라 금융투자회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장외시장에서 비상장주식을 매매하는 것과 다르게 이 채권들은 모두 정식 등록이 되어 있는 채권이며 공시가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회사들은 장외채권을 추가적인 수수료 없이 판매를 하고 있는데요, 실상은 약간의 할인에 대한 커미션을 챙기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워낙 큰 금액이 움직이는 장내채권 시장에서 대량으로 채권을 구매하기 어려운 우리같은 일반인은 장외채권시장에서 채권을 사는 것이 차라리 낫다고 생각합니다. 

장점

  • 일단 한차례 투자회사들이 채권에 대한 검증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직접 장내채권을 매수하는 것 보다 조금 더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 회사의 등급과 쿠폰(이자) 지급방법, 그리고 위험도에 대한 판단이 직관적입니다.
  • 채권을 매수할 때 가지는 어려움 중의 하나인 할인과, 내재가치등을 이미 어느정도 계산하여 공개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계산을 직접할 필요가 없습니다. 
  • 시중 은행금리나 저축은행 금리보다 높은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점

  • 은행금리나 저축은행 금리보다 높은 대신 위험도가 존재합니다. 특히 보증이 없는 채권도 있기 때문에 구입시 상대적인 위험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 거치기간이 다양하게 존재하나 높은 금리를 얻기 위해서는 2년 정도의 거치가 필요하며, 도중에 채권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 정말 최악의 상황에는 채권을 매수한 투자기관에 매도를 할 수도 있다고 하나, 이 경우에는 상당한 손실을 입게 됩니다. 
  • 모든 장외채권의 판단은 본인이 해야 하므로 채권을 내놓은 회사에 대한 정보와 경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구해야 합니다. 

매수 팁

다음의 과정대로 매수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내가 가지고 있는 자금의 최대 거치기간을 고려합니다. 장외채권을 일단 매수하게 되면 만기때까지 매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큰 금액을 동원하는 것은 경제적인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장기적인 계획을 따져 얼마나 오랫동안 거치가 가능한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2.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를 확인합니다. 모든 저축은행들은 정기예금 금리와 상품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 가장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미리 확인합니다. 
  3. 기준금리를 확인합니다. 기준금리는 국공채(국가기관의 채권)의 금리를 말합니다. 기준금리는 가상이긴 하지만 위험도가 0 일때의 금리를 말하는 것으로, 모든 채권은 채권의 위험도에 따라 기준금리에 가산금리(스프레드)가 추가되는 형식으로 지정됩니다. 
  4. 채권 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