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공매도와 선물의 차이

금융을 공부하다 보면, 공매도(숏)과 선물매도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질 때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랬습니다. 둘 다 가격이 떨어졌을때 이득을 보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의 차이가 무엇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작동원리에 따른 차이

공매도(Short selling, Short)

공매도를 하겠다고 한다면, 투자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자산을 빌려서 판 후에, 나중에 진짜 가격이 떨어지면 떨어진 가격으로 빌린 자산을 사서 돌려주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현재가 10,000원에 주식을 빌려 판 후, 가격이 떨어져 9,000원이 되면 그때 주식을 사서 돌려주는 것이지요. 그러면 1,000원의 차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선물매도(Short)

위의 예시를 그대로 가져오겠습니다.
선물매도로 숏을 치는 경우에는, 투자자는 현재 10,000원의 주식을 일정기간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너에게 10,000원에 팔겠다"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이 주식이 9,000원이 되면 투자자는 9,000원짜리 주식을 "너에게만" 10,000원에 팔아 1,000원의 차액을 얻는 것이지요. 

크게 보면 두 가지의 작동원리는 다르지만 : 공매도는 빌려서 팔고 사서 갚고, 선물은 계약에 따라 해당 시기에 사서 바로 팔고 결론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작동 원리를 생각해보면 옵션상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따른 차이

현실에서

공매도두가지의 가장 차이는 이익실현과유하지 않은 자험(위험분을 대여받아 팔고, 이후또는 낮은 가격으로 구매해헷징)의익을 얻는 반면, 선물거래는 미래에 약정한 가격으로 자산을 거래하는 계약입니다.

 

또한
공매도의 경우에주가 하락목적이 시세차액의한따른 이익실현 목적으로 하지만, 선물거래의 경우에가격 상승 또는 하락에 따라 이익과 손실발생할떨어졌을 때를 있으며대비한 보험(위험분산, 보통헷징)의 헤지 용도로도 사용됩목적입니다. 물론 현실에서는 동일하게 이용하는 분들이 많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