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9. 상장지수펀드(ETF)

ETF란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지난번 내용에서 보셨던 인덱스펀드가 은행이나 투자회사를 통해서만 구입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ETF는 일반 주식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에서 편하게 매수와 매도가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ETF가 나오게 된 이유는 사실 인덱스펀드의 단점 때문이었는데요, 인덱스펀드가 지수만을 추종하여 주식을 매수한다고 하더라도 펀드에 투자를 한 사람이 환매를 요청할 경우 어쩔 수 없이 주식을 팔아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것은 주식거래 수수료의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를 발생시켰고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주식을 사거나 파는 애매하게 돈이 모자라거나 남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했습니다. 거기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언제나 +2 영업일 이후에 돈이 돌아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대한 불만이 있었답니다. 결국 똑똑한 사람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TF를 만든 것이지요. 

한국에서는 흔히 ETF를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실제 ETF를 살펴보면 단순히 지수만을 추종하여 운용하는 상품만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인덱스펀드와 같은 패시브 펀드 뿐만 아니라 액티브 펀드도 있고, 지수만을 추종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평가한 회사들의 묶음이나 사업분야의 묶음 형태의 ETF도 존재합니다. 
결국 여기까지 본다면 그냥 쉽게 "옛날에 펀드라는 이름으로 팔던 투자상품이 현재는 ETF라는 편리한 투자상품으로 파는 것 뿐"이라고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ETF의 종류

ETF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실제 ETF는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펀드일 뿐이기 때문에 단순히 지수만을 추종하는 ETF뿐만 아니라 모멘텀이 높은 회사(지금 뜨고 있는 회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 내재가치가 높은 회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 실제 가치에 비해 평가가치가 낮은 회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또한 단순히 주가지수만을 추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채권지수, 원자재 지수등을 추종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결국 ETF는 그 포트폴리오(Portfolio Deposit File, PDF)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ETF는 액티브와 패시브 타입이 존재합니다. 패시브 타입은 인덱스 펀드와 같이 기계적으로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들을 비율에 맞춰 구성하는 상품입니다. 반면에 액티브 타입은 펀드매니저가 능동적으로 투자종목을 고르고 투자비중을 조절하는 상품입니다. 이렇게 보면 액티브 ETF는 앞서 공부한 펀드와 차이가 하나도 없다는 사실을 아실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ETF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포트폴리오(PDF)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
  • 패시브 ETF는 기계적 지수추종을 원칙으로 하나 액티브 ETF는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상품을 운용한다.

ETF의 장점

첫번째로 ETF는 분배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냥 주식의 배당금을 나눠주는 것인데요. 대부분의 상장사 결산일이 분기별로 3, 6, 9, 12월이기 때문에 ETF의 분배금은 1, 4, 7, 10, 12월 마지막 거래일이 됩니다. 그리고 모든 주식거래는 언제나 +2 영업일에 돈이 나오기 때문에 분배 기준이 되는 날(분배기준일)은 언제나 1, 4, 7, 10, 12월 마지막 거래일의 이틀전입니다. 다시말해 1, 4, 7, 10, 12월 마지막 거래일의 이틀전에 반드시 해당 ETF를 가지고 있어야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토요일과 일요일, 그리고 공휴일은 영업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두번째 특징은 펀드와 동일하게 위험도 분산이 됩니다. 다르게 말하면 자산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이것은 장점이자 단점인데, 인덱스 펀드와 마찬가지로 원치않는 대상이 포함되어 있는 ETF를 사면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고, 또 위험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세번째 특징도 펀드와 동일합니다. 많은 수의 펀드가 특정 지수만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만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운용하는 것처럼, ETF도 그 상품의 PDF에 따라 내가 원하는 분야에 집중해서 투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거기다 액티브냐 패시브냐에 따라 투자자가 딱 원하는 상품을 고를 수 있지요. 심지어 ETF 구성기준에 미달하는 회사는 운용사에서 자체적으로 청산해 버리고 구성기준에 맞는 회사의 주식으로 갈아타기 때문에 우리가 회사 하나하나를 따로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네번째 특징은 증권거래세가 없다는 것입니다. ETF는 그 자체가 주식이 아니라 CU(Creation Unit)라는 모호한 단위로 묶여 있기 때문에 비록 주식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다고 해도 주식은 아닌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주식을 거래할 때 발생하는 세금은 없습니다. 다만 분배금(배당금)에 대해 세금은 내야 하지요. 

ETF의 단점

첫번째 가장 중요한 단점은 NAV 괴리율이라는 것입니다. 다음의 내용을 알고 지나가셔야 합니다. 

유동성 공급자(Liquidity Provider, LP)

금융시장에서 거래량을 증가시켜 가격을 균형가격에 접근하게 만드는 자 또는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매도∙매수 호가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는 시장 참가자를 말합니다. 가상의 존재(가상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NAV 괴리율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 (자산 시가 - 부채 시가)/발행 주식수)와 현재 호가와의 차이를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것은 NAV 괴리도에서 나오게 되는데,


NAV 괴리도란 : 

NAV 괴리도 = 주가 - NAV

NAV 괴리율이란 : 

NAV 괴리율 = NAV 괴리도 / 주가 

입니다. 

이 괴리율은 매우 중요한 개념인데, 모든 ETF는 사실 거래를 하는 단위가 CU(Creation Unit, 설정 단위)라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것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ETF의 구성방식에 대해 어느정도 지식이 필요한데요.ETF는 하나의 설정단위(CU)안에 자신들의 포트폴리오에 맞춰 다양한 회사들의 주식을 마구마구 우겨 넣습니다. 이렇게 넣고 나면 하나의 설정단위는 아주 큰 돈이 됩니다. 왜냐면 다양한 주식이 잔뜩 들어 있으니까요. 그래서 이 설정단위 상태로는 일반인에게 판매할 수 없습니다. 
결국 회사들은 ETF를 판매하기 위해 "1 설정단위(CU)는 몇 구좌(주식의 단위 같은 것)이다"라고 정하게 되는데, 이것이 해당 ETF의 초기 가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