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장내채권 매수 (작성중)
장내채권은 KRX라고 부르는 한국거래소의 전산에 등록된 채권을 말합니다. 지난번 장외채권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장내채권과 투자회사의 장외채권은 동일한 상품입니다. 단지 장외채권은 매수후에 만기까지 매매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장내채권의 장점
기본적으로 장외채권과 동일한 채권이기 때문에 신용도의 차이가 있다거나 그런 것은 없습니다. 다만 다음의 장점이 있습니다.
- 장외채권에 비해 가격이 쌉니다. 동일한 시기에 장외채권으로 올라온 상품과 장내채권으로 올라온 상품을 비교해 보면 가격의 차이가 상당히 납니다(심할때는 채권당 50원에서 100원까지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이 가격 차이가 보통 투자회사들이 말하지 않는 자신들의 수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매수와 매도가 가능합니다. 장내채권은 주식과 마찬가지로 얼마든지 상황에 맞게 갈아타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만기까지 그냥 가지고 계셔도 무방합니다. 결국 장내채권을 장외채권과 같은 목적(만기까지 가지고 있기)으로 매수하신다면 더 싸게 사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내채권의 단점
- 거래단위가 어마어마하게 큽니다. 딱 한 개의 채권(액면가 10,000원)을 사실 수도 있지만, 통상 천 만원단위로 거래가 되고 억 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이것은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한데, 아주 소량을 매수하실 거라면 큰 상관이 없지만 대량의 채권매수를 하실 생각이라면 시장가에서 조금씩 비싸게 사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장외채권보다는 쌉니다.
- 매물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전문 채권투자자들도 하는 말이지만, 기본적으로 매물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시중에는 엄청난 양의 채권이 돌아다니고 있고, 모든 채권거래가 KRX에 나타나기는 하지만 현재 거래중인 채권이 따로 나오지 않다보니 막상 사고 싶어도 무얼 어떻게 사야할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자금을 가지고 있어도 살 수가 없어서 멍하게 천장만 바라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매물이 나와도 호가가 매우 견고하기 때문에 시중가보다 싸게 사기는 극히 어렵습니다. 장내채권화면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매수와 매도를 던져놓고선 서로 꼼짝도 하지 않습니다. 양쪽 다 전문 투자자들이고 철저한 계획(계산)하에 매수와 매도를 하다보니 가격의 변동도 거의 없고 호가를 해도 가격이 맞지 않으면 아예 살 수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 가격계산이 어렵습니다. 물론 장내채권 매매의 화면에 보면 호가별로 "이 채권을 사서 만기까지 가지고 있을때 얻을 수 있는 은행 이자수익"을 자동으로 계산해서 올려주지만, 그래도 불안합니다. 결국 매수와 매도를 하기 전에 철저하게 스스로 계산해서 거래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는 주식시장과는 달리 생각보다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전부 복리계산이기 때문에 적어도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은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장내채권 거래의 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