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조금씩 기대감이
새로운 선수가 등장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인터뷰에서 협상 하나가 끝나서 해당 국가 총리와 의회의 비준만 있으면 된다는 말을 흘립니다. 추정컨데 인도나 일본이 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 미국 내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위해 25% 자동차 부품관세 중 일부를 2년간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미국 내에서 조립된 차량 가치의 최대 15%에 해당하는 금액에는 25%의 관세를 면제할 예정입이다. 즉 차량 가격의 15%에서 25% 관세는 3.75%인 만큼 미국서 생산된 차량가격의 약 3.75%의 무관세 혜택을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S&P 500지수는 0.58% 상승한 5560.83을, 나스닥지수는 0.55% 상승한 17461.3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업종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반적으로는 아직 투자자들의 안전 선호 심리가 우세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의 소소한 반항?
아마존이 어제 온라인 스토어에서 가격을 표시할 때 세금(관세 포함)을 따로 표기하려고 한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이에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제프 베조스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하며, 아마존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하는데 진실은 저 너머에 있습니다. 이 소식이 어디서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살아있는 권력에 아마존이 반항을 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종의 가짜뉴스가 아닐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전망
1~2일 내에 미국과 관세협상이 타결된 국가가 밝혀질 것으로 보이며 결과가 어떻든 미국증시는 다시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직 중국이 관세협상의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 불안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전에도 말씀드렸듯 다른 모든 나라가 협상에 응하고 결과가 나오면 중국도 어쩔 수 없이 미국의 요구를 따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은 휴전협상의 진전이 없이 교착상태에 있으며, 카자흐스탄과 이라크에 대한 OPEC+의 압박용 원유생산증가 정책에 큰 변화는 없는 상태입니다. 또한 중국은 추가적인 대미국 관세보복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의 관세전쟁은 현 시점에서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해소되는 분위기로 보입니다. 결국 주가는 이에 반응해서 차츰 상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