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리츠(REITs)의 외연 확대

이번 삼성증권에서는 국내 리츠 회사들의 대한 소식을 전해줬습니다.

미국 FOMC의 금리인하 결정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9월달 금리인하는 거의 확정적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한 가운데 한국은행 역시 금리인하를 할 것이라고 모두들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불경기로 인한 상업건물(상가건물)의 수익률 저하와 배당금 유지를 위해 많은 대출을 진행해야 했던 리츠 회사들은 금리인하와 함께 보다 큰 외연확대를 위해 유/무상 증자를 예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좀 위험한 짓 아닌가 싶은데 대마불사가 흔하디 흔한 한국에서는 오히려 당연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리츠의 가장 큰 특징을 설명하자면 "투자라는 이름으로 돈을 묶어 놓으면 높은 이자를 준다"는 것입니다. 실제 이 회사들의 주가 자체는 거의 오르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를 가능성이 있다면 차라리 증자를 통해 더 많은 부동산을 유치하려고 하지요.
크게는 두 가지 스타일의 리츠가 있는데 하나는 상업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리츠가 있고, 다른 하나는 기간시설에 투자를 하는 리츠가 있습니다. 어느쪽에 투자할지는 여러분의 스타일에 따라 다르지만 전 개인적으론 기간시설에 투자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나쁜 말이지만 세상은 역시 주인없는 눈먼 돈 빼 먹는 것이 훨씬 편하거든요. 

아무튼 리츠는 주가가 많이 오르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츠는 심하게 말해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큰 돈을 너에게 줄테니 앞으로 나에게 연금을 주는 것처럼 이자를 다오" 같은 느낌입니다. 다시말해 이자를 받는 동안에는 편하지만 주권(주식)을 팔려고 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는 삼성증권에서 정리한 국내 리츠회사들입니다. 

스크린샷 2024-08-14 오후 2.51.4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