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엘리엇 파동이론(The Wave Principle)

엘리엇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 -波動理論)은 랠프 넬슨 엘리엇(Ralph Nelson Elliott, 1871-1948)이 발견한 파동 패턴을 말합니다. 1938년에 저서 파동이론《The Wave Principle》에서 발표하였으며, 주식투자에서 그래프를 보고 결정하는 기술적 투자의 기본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설명

엘리엇 파동이론의 핵심은 주가의 움직임은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며, 5번의 상승 파동과 3번의 하락 파동이 반복된다는 것입니다. 

IMG_0919.jpeg

뭐 복잡하게 말을 하지만 "----퐁!" 한 다음에 "--당!" 한다는 말입니다. 이 중에서 퐁! 할 때가 최고점이니 이때 다 팔아버리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이고요. 그래도 나름 이론이라고 불리우니까 조금 더 설명드리자면. 

상승 파동

제 1파동

1번 파동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서, 이제까지의 추세가 일단 끝나고 다시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출발점입니다. 일방적으로 제1번 파동은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짧으며, 보통의 경우는 바닥 수준에서의 단순한 반등 정도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아서 알아내기 힘듭니다. 그러나 1번 파동은 일단 완성되는 것이 확인된다면, 앞으로의 거래방향을 결정하는데 주로 핵심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리고 1번 파동은 추진파동이므로, 반드시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제 2파동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됩니다. 2번 파동은 1번 파동을 38.2퍼센트 또는 61.8퍼센트 비율만큼 되돌리는(retracement) 경향이 높으나 2번 파동의 최저점이 1번 파동의 최저점이하로 형성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ac020907_02img01.gif

제 3파동

3번 파동은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가격변동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파동입니다. 5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긴 것이 일반적이며, 결코 3번 파동이 1번, 3번, 5번 파동 즉 추진파동 중에서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습니다. 보통의 경우, 3번 파동은 가장 강력하고 가격의 변화도 활발하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거래량도 최고에 이르게 되며, 가격의 움직임 가운데서 갭(gap)이 나타나는 예도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1.618배의 길이가 됩니다. 

ac020907_02img02.gif

제 4파동

4번 파동은 3번 파동을 38.2퍼센트 되돌리는 경우가 많으며, 4번 파동이 결코 1번 파동과는 겹치지 않습니다.

제 5파동

5번 파동은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추세가 막바지에 이르는 국면입니다. 가격의 움직임도 거래량도 3번 파동에 비하여 적게 형성됩니다. 1, 3번 파동의 길이가 같으면 5번 파동은 확장되는데, 목표치는 1번 파동의 바닥에서 3번 파동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1.628배한 수치를 4번 파동의 바닥에 더해 구합니다. 3번 파동이 확장됐을 때는 5번 파동은 1번 파동과 길이가 같게 됩니다. 

ac020907_02img03.gif

하락 파동

A 파동

A 파동부터는 이제까지의 추세의 움직임에 대한 단순한 조정으로 잘못 이해될 가능성이 높으나 이전과는 반대방향과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게 됩니다.

B 파동

B 파동은 새로이 시작되는 하락추세에 반발하는 매입세력이 시장에 나타나면서 형성되며, 보통의 경우 거래는 그리 활발하지 못합니다. B 파동에서 매도기회를 놓치면 이제는 영영 매도기회를 찾지 못할 수 있습니다. 역으로는 다음의 C 파동을 염두에 두고 대주(short sale)를 고려해 볼 수 있는 시점입니다.

C 파동

C 파동에서의 거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도중에 갭이 나타나는 등 가격의 변동폭도 큽니다. 사람들의 기대와 희망이 산산이 부서지는 시점이며, 오히려 가격의 하락추세가 더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사람들을 지배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망감과 두려움에서 비롯된 투매(dumping)의 영향으로 가격의 하락폭도 빨라지게 됩니다.

절대불가침의 규칙

엘리엇 파동이론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규칙이 존재합니다. 

  1.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밑으로는 내려가지 못한다.
  2. 3번 파동이 제일 짧을 수는 없다.
  3. 4번 파동과 1번 파동은 서로 겹칠 수 없다.
    (예외-삼각 쐐기형에서는 4번 파동이 1번 파동의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ac020907_03img01.gif

파동변화의 법칙

같은 종류의 파동이 연이어 나타나기보다는 서로 다른 종류의 파동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조정파동인 2번 파동이 정통적인 단순(simple)형태로 구성되었다면, 다음에 나타날 조정 파동인 4번 파동은 복합적인(complex)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말입니다.

파동 평형의 법칙

추진파동인 1번 파동, 3번 파동 및 5번 파동에 있어서 세 파동은 근본적으로 서로 길이와 너비가 같게 나타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특히 세 파동 중의 한 파동이 연장될 경우에는 거의 맞을 확률이 높습니다.

엘리엇 이론의 한계

엘리엇 이론의 가장 큰 약점은 너무나 융통성(flexibility)이 많다는 점입니다. 거의 모든 법칙이 예외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형적인 파동이 있는 반면에 파동이 변형되는 경우도 허다하므로 파동을 해석하는 것이 분석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더라도 어떤 하나의 공통된 의견으로 집결하는 것이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엘리엇 파동이론은 그래프를 보았을때 주식이 오름-내림-오름-내림-오름! 하는 식으로 오른다는 것인데 사실상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 단계를 거치며 오르던 주가가 갑작스러운 외부효과(매우 나쁜 전쟁관련 뉴스라든가 테러등)로 인해 급락할 수도 있으며, 하락 파동으로 떨어지던 주가가 회사와 관련된 좋은 뉴스로 급등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그렇듯 주식은 꿈과 희망으로 움직이는 것이라서 그래프의 기술적인 분석만으로 돈을 벌 수 있었다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부자가 되었을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알 수 없는 것이 사업이고 주가라고 생각하니까요. 

그냥 심심풀이로 알고 계시라고 정리해 봤습니다.